고입 대입 진학진로

[2022대입] 올해 정시 선발 인원 40% 이상증가 수능이 더 중요해지는 만큼 '복불복' 수능 선택과목을 놓고 고민

배움키움 2021. 1. 3. 23:01
반응형


문·이과 구분이 사라지는 2022학년도에는 국어와 수학 역시 선택과목제가 도입됩니다.

국어는 '독서'와 '문학'을 공통과목으로 치르고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중 하나를 선택해 수능을 봅니다.


수학은 수학Ⅰ, 수학Ⅱ가 공통과목이고,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셋 중 하나를 고르게 됩니다.


탐구는 사회탐구 9과목, 과학탐구 8과목 중 문·이과 구분 없이 자유롭게 2과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벌써 과목 선택에 따른 유불리 현상이 더 심화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 섞인 전망도 제기됩니다.


실제 지난달 치러진 수능에선 사회탐구 중 한국지리와 세계지리는 표준점수 최고점이 나란히 63점으로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가장 높은 사회·문화보다 8점이나 낮았습니다.

특히 세계지리에선 한 문제 틀린 학생은 2등급이 아니라 바로 3등급으로 떨어졌습니다.


과학탐구 중에선 물리Ⅱ의 표준점수 최고점이 62점으로 지구과학Ⅰ보다 10점이 낮았는데, 역시 한 문제 틀린 학생이 3등급을 받았습니다.


과목별 난이도가 제각각이어서 선택과목을 잘못 고르면 합격과 불합격이 갈릴 수 있는 상황입니다.

난이도 조절에 문제가 없다는 출제기관으로선 난처할 수밖에 없습니다.

출처 ytn
http://naver.me/xv0yu2WK

올해 수능 선택과목제 확대...'복불복' 논란 어쩌나

[앵커] 현재 고등학교 2학년이 시험을 보는 2022학년도 수능 역시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국어와 수학에서 선택형 수능이 처음 도입되는 데, 과목 선택에 따라 유불리 현상이 빚어질 수도

n.news.naver.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