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어른들은 개팔자가 상팔자라고 하던데.. 춥건덥건 걱정없이 제 모양대로 엎드려 자고야마는 좋은 본성(??)을 보고 하는 말일게다
우리 사람으로 말하자면 머리 다을곳만 있으면 주무시는 인간형..
걱정을 팔자로 두지않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걱정이 우리의 팔자가 되지않으려면 생각이 걱정으로 걱정이 불안으로 옮겨 붙지않도록 스스로의 뇌를 조정하려는 노력을 해야 내가 편해진다
일상에서 중요한 것에만 집중하여 평화와 공존하려는 연습이 필요하다

“걱정이 찾아오는 것은 막을 수 없지만
어떻게 다룰지는 선택할 수 있다!”
벤 엑슈타인의 책 〈걱정 다루기 연습〉에는 뇌 속에서 걱정과 불안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찾아온 걱정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를 심리 이론과 뇌 과학 지식을 토대로 설명한다. 그리고 걱정 대처 시나리오 쓰는 법, 걱정이 있든 말든 현재에 집중하는 법, 걱정하는 습관을 깨는 법 등 생활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팁도 같이 실었다.
임상심리학자가 알려주는 걱정과 사이좋게 지내는 법!
임상심리학자인 벤 엑슈타인은 ‘걱정'이 아니라 ’걱정하기'가 문제라고 말한다. ‘걱정’이 일어나는 건 우리 뇌가 평소 생각이나 경험을 토대로 위험을 느낄 때 보내는 신호다. 사회 변화는 빨라지고, 경쟁은 더 치열해지고,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걱정이 많아지는 게 당연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걱정하기'는 서퍼가 어떤 파도를 탈지 결정하듯 스스로 선택하는 행위여서 내게 적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찾아온 걱정을 두고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사람마다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같은 걱정거리라도 어떤 사람은 아무렇지 않고 어떤 사람은 통제력을 잃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렇게 사람마다 다른 &걱정 레시피&에 걱정에 시달리지 않는 열쇠가 숨겨져 있다고 강조한다.
걱정 없는 삶이 있을까? 했던 말과 지나간 행동을 곱씹는 걱정부터, 일, 인간관계, 건강, 노후…마치 파도처럼 끝없이 밀려든다. 한데 어떤 사람은 걱정이 밀려와도 아무렇지 않게 털어내는데 어떤 사람은 파도에 몸이 젖어 들듯 서서히 마음을 빼앗기고 통제력을 잃는다. 왜 이런 일이 생길까?
이 책은 걱정을 없애라고 말하지 않는다. 없앨 수도 없다. 다만 더 이상 걱정이 당신의 삶을 통제하지 않도록 다루는 법을 알아야 한다고 말한다. 이제부터 걱정에서 나 자신을 떼어내고 내 삶을 주도할 수 있을 것이다. 그저 서퍼가 파도를 다루듯 연습이 필요할 뿐이다.
우리는 종종 세상살이는 생각하기 나름이라는 말을 많이 듣고 하면서 지낸다. 가진 것보다는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행복한 삶을 좌우한다는 사실도 알고 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그런 생각이 좌절을 겪을 때가 많다. 나 자신보다는 타인의 처지와 나의 그것을 비교하면서 삶의 시간을 대부분 보낸다. 삶을 온전하게 살아가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한다. 상황과 때에 따라 나 자신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메타인지적 사고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생긴 모습만큼이나 사람은 모두 다르다. 다른 만큼이나 처방도 달라야 할 것이다. 과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나에게는 무엇이 필요한지 평생 숙고해야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