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right life

최근 대한민국 출산율이 소폭 상승세ㅡ9년만의 반등!! 긍정적 변화/ 통계청 출산자료

by 배움키움 2025. 3. 3.
반응형

최근 대한민국 출산율이 소폭 상승세를 보이며 긍정적인 변화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출생아 수는 23만 8천 3백 명으로 전년 대비 8천 3백 명 증가했으며, 합계출산율 역시 0.75명으로 0.03명 상승했습니다. 이는 2016년부터 지속된 하락세가 9년 만에 반등한 결과로, 사회적으로 큰 의미를 갖습니다.
출산율 증가 요인
* 혼인 증가:
   *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미뤄졌던 결혼 수요가 2022년부터 급증하면서 출생아 수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 2023년 혼인 건수는 1970년 통계 작성 이후 최대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 30대 여성 인구 증가:
   * 2차 에코붐 세대가 본격적으로 30대에 진입하면서 출산율 상승에 기여했습니다.
* 정부의 저출산 정책:
   * 정부의 다양한 저출산 정책들이 일부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 늘봄학교 같은 프로그램도 출산율 증가에 기여할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 출산에 대한 인식 변화:
   * 결혼과 출산에 대한 부담감이 다소 완화되고, 긍정적인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역별 출산율 현황
* 시도별 합계출산율은 세종과 전남이 1.03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서울은 0.58명으로 가장 낮았습니다.
* 세종시는 젊은 부부들이 많이 거주하는 도시로,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도 출산율을 높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전망
* 통계청은 혼인 증가 추세가 이어지면서 2024년에도 출생아 수와 합계출산율이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 하지만, 여전히 OECD 국가 중 최저 수준인 출산율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정책적 노력과 사회적 인식 개선이 필요합니다.

참고 자료
* 통계청: 연령별 출산율

https://naver.me/5RheZnlD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가 지속되어 대한민국이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고 밝은 미래를 맞이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