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right life

상서롭다 vs 상스럽다: 헷갈리는 두 단어, 완벽 정리!

by 배움키움 2025. 3. 22.
반응형

발음은 비슷하지만 의미는 정반대인 두 단어, '상서롭다'와 '상스럽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혹시 이 두 단어를 사용할 때마다 헷갈리셨던 적 있으신가요?
오늘 포스팅을 통해 두 단어의 의미와 차이를 명확하게 구분하고, 상황에 맞는 올바른 단어를 알아보겠습니다.

1. 상서롭다 (祥瑞롭다)
* 한자 풀이: 상서로울 상(祥), 상서로울 서(瑞)
* 의미: 복되고 길한 일이 일어날 조짐이 있다.
* 예시:
   * "아침에 까치가 울면 상서로운 일이 생길 징조라고 한다."
   * "새해 첫날 해돋이를 보며 상서로운 기운을 받았다."
   * "결혼식 날, 하늘에 오색 구름이 피어 상서로웠다."

2. 상스럽다 (常스럽다)
* 한자 풀이: 항상 상(常)
* 의미: 말이나 행동이 천하고 교양이 없다.
* 예시:
   * "그는 술에 취해 상스러운 욕설을 퍼부었다."
   * "옷차림이 너무 상스러워서 눈살이 찌푸려졌다."
   * "상스러운 농담은 듣는 사람을 불쾌하게 만든다."

3. 두 단어의 차이점
* 상서롭다: 좋은 일이 일어날 징조나 기운을 나타내는 긍정적인 의미
* 상스럽다: 천박하고 교양 없는 말이나 행동을 나타내는 부정적인 의미

4. 헷갈리지 않는 팁
* 상서롭다: '복', '길', '행운'과 같은 긍정적인 단어와 연결하여 기억하세요.
* 상스럽다: '천박', '저속', '무례'와 같은 부정적인 단어와 연결하여 기억하세요.

5. 추가 정보
* '상스럽다'와 비슷한 단어로 '쌍스럽다'가 있습니다. '쌍스럽다'는 '상스럽다'보다 더 강한 부정적인 의미를 나타냅니다.
이제 '상서롭다'와 '상스럽다'의 차이를 명확하게 이해하셨나요? 앞으로는 두 단어를 헷갈리지 않고 올바르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https://youtube.com/shorts/g7Myonik0hs?si=JxM0qtKjlsx8W4i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