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 피싱 범죄가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카드 배송 사칭 수법이 피해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소비자 경보를 경고로 상향 조정했으며, 피해자 중 상당수가 어르신들로 나타났습니다.

1. 보이스피싱 현황
보이스피싱 범죄가 계속해서 증가하여
금융당국은 소비자 경보를 '주의'에서 '경고'로 상향 조정하였습니다.
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249억 원에서 610억 원으로 증가,
피해자 중 많은 수가 어르신이며, 신용정보를 제공한 후 고액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2. 피해자 분석
금감원 자료에 따르면, 작년 하반기 2억 원 이상 피해를 본 사람의 약 80%가 여성임 .
특히 60대 여성이 절반을 차지함 .
서울 강남 3구의 피해액이 서울 전체 피해액의 약 30%를 차지함 .
3. 카드 배송 사칭 수법
범죄자들이 카드 배송을 사칭하여 피해자를 유인함 .
피해자가 카드 신청을 하지 않았다고 하자, 배송원이 가짜 콜센터로 전화하도록 유도함 .
범죄자들은 원격 제어 앱을 설치하게 하여 피해자를 조종함 .
피해자는 검찰과 금감원을 사칭한 범죄자에게 자금을 이체하게 됨 .

60대 여성 보이스피싱 피해
비율이 높은 이유 분석
보이스피싱 범죄는 끊이지 않고 있으며, 특히 60대 여성의 피해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이는 범죄자들이 특정 계층의 심리적, 사회적 특성을 악용한 결과로 분석될 수 있습니다.
1. 고령층의 정보 취약성 및 심리적 요인
* 정보 습득의 어려움: 고령층은 새로운 기술이나 금융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낮아 보이스피싱 수법을 인지하고 대처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 심리적 불안감: 자녀 사칭, 긴급 상황 발생 등의 거짓 정보에 쉽게 동요하여 이성적인 판단을 내리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사회적 고립: 주변과의 소통 부족으로 인해 보이스피싱에 대한 정보를 얻기 어렵고, 의사 결정을 위한 조언을 구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2. 여성의 사회적 역할 및 경제적 요인
* 가정 경제 관리: 전통적으로 가계 경제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여성이 많아 금융 관련 의사 결정에 더 깊이 관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금융 사기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 정에 약한 심리: 남성에 비해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이 높고, 부탁을 거절하기 어려워하는 경향이 있어 사기범의 감정적인 접근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 상대적으로 낮은 사회적 지위: 사회적 지위가 낮다고 인식될 경우, 권위적인 태도를 보이는 사기범에게 쉽게 압도당할 수 있습니다.
3. 범죄자들의 표적 설정
* 과거 피해 사례 분석: 범죄자들은 과거 보이스피싱 피해 사례를 분석하여 특정 연령대와 성별이 범죄에 취약하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해당 계층을 집중적으로 공략합니다.
* 정보 획득: 개인 정보 유출, 해킹 등을 통해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피해 대상의 경제 상황, 가족 관계 등을 파악하여 맞춤형 시나리오를 구성합니다.
* 심리적 압박: 피해자의 심리를 조종하여 공포심을 유발하고, 이성적인 판단을 흐리게 만들어 범죄에 쉽게 빠져들게 합니다.
4. 지역적 요인
* 강남 3구: 서울 강남 3구의 피해액이 서울 전체 피해액의 약 3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강남 지역의 높은 자산 가치와 사회적 지위가 범죄자들의 표적이 되기 쉬운 환경을 조성하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5. 카드 배송 사칭 수법의 진화
* 문자 차단 회피: 기존의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스미싱 수법이 차단되자, 범죄자들은 카드 배송원을 사칭하여 직접 전화를 걸거나 위조된 실물 카드를 배송하는 등 더욱 적극적인 방식으로 범행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 악성 앱 설치 유도: 가짜 콜센터로 연결하여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하고, 피해자가 금융기관에 전화해도 사기범에게 연결되도록 하는 치밀한 수법을 사용합니다 .
따라서 60대 여성은 정보 취약성, 심리적 요인, 사회적 역할, 경제적 요인 등 다양한 복합적인 이유로 인해 보이스피싱 범죄의 주요 표적이 되고 있으며, 범죄자들은 이러한 취약점을 악용하여 더욱 교묘하고 치밀한 수법으로 범행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
예방 방법
카드 배송 연락을 받았을 때, 공식 전화번호로 확인해야 함 .
의심스러운 경우 즉시 112에 신고해야 함 .
카드사 직원이 앱 다운로드를 요구하면 반드시 거절해야 함 .
공공기관은 앱 설치를 요청하지 않음을 기억해야 함 .
악성 앱이 설치된 경우, 다른 가족이나 지인의 전화기를 이용해 신고해야 함 .
국가기관은 공탁금 명목으로 자금을 이체 요구하지 않음 .
이동통신사의 AI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를 이용하면 사기 여부를 알림으로 받을 수 있음 .
'bright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2명도 다자녀" 특공부터 교육비 지원까지,더 탄탄해진 다둥이 혜택 (3) | 2025.03.03 |
---|---|
보이스 피싱 범죄자들의 교묘한 수법들/ 보이스 피싱 예방을 위한 필수 확인 사항 (2) | 2025.03.01 |
세종 고복저수지의 아름다운 풍경과 진한커피향ㆍ쿠키가 맛있는 에브리썬데이 ㆍ호수경치ㆍ (1) | 2025.03.01 |
국립 세종 수목원 독특한 꽃 자랑 아직은 쌀쌀한 봄 ㆍ따뜻한 온실에서 힐링하기/어린이 체험/제라늄 삽목 이벤트(꽃ㆍ열매 사진 이름) (2) | 2025.03.01 |
2025년 1분기 금리조정,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기준금리 인하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격차는 약 1.75% (1) | 2025.03.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