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right life

보이스 피싱 범죄자들의 교묘한 수법들/ 보이스 피싱 예방을 위한 필수 확인 사항

by 배움키움 2025. 3. 1.
반응형





보이스 피싱 범죄는 끊이지 않고 있으며, 범죄자들은 더욱 교묘하고 치밀한 수법으로 피해자들을 속이고 있어요 . 특히 카드 배송을 사칭하는 수법이 늘어나면서 금융당국은 소비자 경보를 '경고'로 상향하기도 했습니다 . 보이스 피싱 피해액은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가짜 카드 배송'으로 시작되는 '기관 사칭형 수법'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히고 있어요 .



1. 카드 배송 사칭 수법의 진화
* 초기 수법: 과거에는 피싱 일당이 카드 배송 미끼 문자를 대량으로 발송하는 방식이었습니다 .
* 진화된 수법: 문자 차단 대책이 강화되자, 범죄자들은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해 더욱 적극적인 범행을 시도하고 있어요 .
* 배송원을 사칭하여 직접 전화를 걸거나
* 위조된 실물 카드를 직접 배송하러 방문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


2. 악성 앱 설치 유도 및 조종
1.  가짜 콜센터 연결: 카드 신청자가 카드 배송을 요청하지 않았다고 응답할 경우, 배송 사칭범은 피해자에게 가짜 콜센터로 전화하도록 유도합니다 .

2.  악성 앱 설치: 콜센터에 연결되면 원격 제어 앱, 즉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합니다 .

3.  통화 가로채기: 악성 앱이 설치되면 피해자가 금감원이나 검찰청 공식 번호로 전화를 걸어도 사기범들에게 연결됩니다 .

4.  기관 사칭 및 자금 이체 유도: 피싱 일당은 검찰과 금감원을 사칭하며 피해자를 조종하여 직접 자금 이체를 하게 만듭니다 .

* 사기 범죄에 연루되었다고 속이거나
* 자산 보호, 약식 보호, 공탁금 등의 명목으로 돈을 뜯어냅니다 .


3. 피해자 특성 및 지역적 특징
* 주요 피해자: 주로 어르신들이 많고, 신용정보를 쉽게 믿고 제공하여 고액의 피해를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
* 2억 원 이상 피해자의 약 80%가 여성
* 60대 여성이 절반을 차지
* 지역적 특징: 서울의 경우 강남 3구의 피해액이 서울 전체 피해액의 약 30%를 차지합니다 .

보이스 피싱 예방을 위한 필수 확인 사항

4.1 카드사 확인 및 신고
신청하지 않은 카드 배송 연락 시 카드사 공식 전화번호로 직접 확인하는 것이 중요.

배송 직원이 알려준 번호가 아닌, 카드사 공식 번호로 확인해야 함.

카드 배송 사칭이 의심될 경우 즉시 112에 신고해야 함.

4.2 앱 설치 및 악성 앱 주의
카드사, 금융사, 금감원 등 공공기관은 절대 앱 설치를 요청하지 않으므로 거절해야 함.

모르는 사람이 특정 원격제어 앱 다운로드를 요구하면 보이스 피싱을 의심해야 함.

악성 앱이 이미 설치된 경우, 다른 가족이나 지인의 전화기를 이용하여 경찰이나 금감원에 신고.

4.3 공탁금 요구 및 AI 탐지 서비스
금감원, 검찰 등 국가기관은 공탁금 명목으로 자금 이체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절대 응하지 않아야 함.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AI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이 좋음.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