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입 대입 진학진로205

2024학년도 숭의여자 대학교 수시1,2차 입시결과 숭의 여자대학교 수시 1차 및 2차 전형 학과 및  모집인원, 지원인원, 경쟁률,합격자 최저 학생부 등급,  합격자 평균 학생부 등급별 전년도 입시 결과입니다. 2024. 11. 14.
수시 최초 합격자나 충원 합격자는 정시모집 또는 추가모집에 지원이 불가, 전문대 수시 2차 원서접수및 일정 및 유의사항 ㆍ 수시모집에서 합격자(최초, 충원)는 수험생의 등록의사와 관계없이 합격으로 처리되며, 수시 최초 합격자나 충원 합격자는 정시모집 또는 추가모집에 지원이 불가합니다. 단, 특별법 설립대(KAIST, UNIST, GIST, DGIST, KENTECH, 경찰대학 등)은 제외.ㆍ 수시모집 등록금을 2개 이상의 대학에 납부한 경우(등록예치금 납부도 정식등록으로 처리), 이중등록 금지 위반으로 모든 대학의 입학이 취소됩니다.ㆍ 정시모집에서 모집군이 같은 2개 이상의 대학에 지원을 금지합니다. 단, 특별법 설립대(KAIST, UNIST, GIST, DGIST, KENTECH, 경찰대학 등), 산업대, 전문대학은 제외.ㆍ 정시모집에서 동일 대학의 모집군이 같은 모집단위(계열/학과/전공)에 복수지원을 금지하며, 이를 .. 2024. 11. 14.
오륙도 신춘문예, 호미곶 흑구문학상 공모전 ******************오륙도 신춘문예 공모전  *******2024 호미곶 흑구문학상(시 부문) 공모요강  2024 호미곶 흑구문학상은 우리 국토(맹호)의 호미곶에서 문화관광 예술의 특수성을 개발하여 문화예술의 르네상스를 이루고 호미곶이 포항 문학과 예술의 정신적인 중심지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응모자격 : 제한없음 ▪응모기간 : 2024년 9월 16일(월) ~ 11월 15일(금) 당일 도착분에 한함 ▪응모부문 : 시 부문 – 미 발표작 시 5편 ※ 바탕체 10P, 줄간격 160% 기준 / 편수 미달 및 기준 분량 초과시 작품 심사 제외 ▪주 제 : 자유주제(제한없음) ▪응모요령 : ① 원고지 또는 A4용지에 수기 또는 워드로 작성 단,.. 2024. 11. 14.
AI 산업 동향에 맞춘 학과 (인공지능/휴먼지능 학과 편) 휴먼지능학과가 있는 4년제 대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인공지능학과가 있으며, AI 관련 학문을 집중적으로 배울 수 있습니다.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정보통신학과나 컴퓨터공학과에서 인공지능 관련 과목을 개설하고 있습니다. 중부대학교: 인공지능학과가 있으며, 장학제도와 높은 취업률을 자랑합니다. 이 외에도 인공지능 관련 학과나 강의가 있는 대학들이 많이 생기는 추세이니 관심 있는 대학의 세부 전공과 커리큘럼을 확인해보시면 좋겠습니다. ㆍ상명대학교(서울)ㆍ세종대학교상명대학교에 개설된 인공지능과 관련된 여러 학과를 통해 몇 가지 정보를 소개할게요 지능IOT융합전공: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IoT)을 융합한 학문을 다룹니다. 자세히 보기 휴먼.. 2024. 10. 28.
2025학년도 전문대 수시1차, 수시2차 모집 총정리 2025학년도 전문대 수시 모집 개요수시 모집 일정수시 1차: 2024년 9월 9일 ~ 10월 2일수시 2차: 2024년 11월 8일 ~ 11월 22일모집 인원수시 1차: 122,897명수시 2차: 27,500명지원 자격고교 유형별로 지원 자격이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반고와 특성화고 출신 학생들을 구분하여 선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지원 횟수 제한전문대학은 수시와 정시 모두 지원 횟수에 제한이 없습니다.수능 최저학력기준일반적으로 전문대학 수시에서는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지만, 일부 간호학과에서는 적용될 수 있습니다.올해 수시1차 인기 대학 및 학과영남이공대학교경쟁률: 5.73대 1인기 학과: 간호학과, 물리치료학과, 뷰티디자인과대구보건대학교경쟁률: 평균 5.37대 1인기 학과: 간호학.. 2024. 10. 25.
대학별 입시 전략 각 대학마다 입시 요건과 전형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잘 이해하고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여기 몇 가지 핵심 전략을 소개할게요:목표 설정하기: 먼저 목표 대학과 학과를 설정하세요. 목표가 명확해야 그에 맞는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입시 일정 관리하기: 입시 일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각 대학의 수시와 정시 일정, 원서 접수 기간 등을 꼼꼼히 체크하세요수능 준비하기: 수능 성적은 대학 진학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정시 전형에서는 수능 성적이 결정적이므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대학별 입시 정보 수집하기: 각 대학의 입시 요건을 잘 파악하세요. 예를 들어, 서울대는 자소서가 폐지되었고, 연세대는 추천형 전형에서 제시문 면접을 폐지하고 수능 최저 기준을 완화했습니다자기소개서와 면접 준비하기: .. 2024. 10. 23.
지원율 높은 전문대 인기 학교 및 학과 올해 전문대 수시 1차에서 인기 있는 대학과 학과를 소개해드릴게요.인기 대학 및 학과영남이공대학교경쟁률: 5.73대 1인기 학과: 간호학과, 물리치료학과, 뷰티디자인과대구보건대학교경쟁률: 평균 5.37대 1인기 학과: 간호학과 (81.3대 1), 물리치료학과 (45.8대 1), 방사선학과계명문화대학교경쟁률: 3.4대 1인기 학과: 치위생과 (11.8대 1), 간호학과 (9.4대 1)대구과학대학교경쟁률: 3.3대 1인기 학과: 물리치료과 (124대 1), 간호학과 (37대 1), 뷰티디자인과수성대학교경쟁률: 3.3대 1인기 학과: 간호학과 (6.5대 1), 방사선과 (8.1대 1), 치위생과인기 학과간호학과경쟁률: 대구보건대 81.3대 1, 계명문화대 9.4대 1설명: 높은 취업률과 안정적인 직업 전망으로.. 2024. 10. 23.
올해 1~2등급 학생들은 어느대학의 어떤과를 많이 지원했을까? 1~2등급 학생들이 올해 수시에서 많이 지원한 대학과 학과의 순위입니다.일이등급이더라고 서울대 지원율이 가장 높지 않은 이유는 모집 인원에 따른 차이도 있지만 서울대는 학생부 종합전형이 내신으로만 뽑지 않기 때문인것으로 보입니다.1. 고려대학교 (Korea University)학교추천전형과 학업우수형 전형이 특히 인기가 많습니다2. 중앙대학교 (Chung-Ang University)경영학과와 의과대학이 많은 지원을 받았습니다3. 건국대학교 (Konkuk University)KU 자기추천 전형과 지역균형 전형이 높은 지원율을 기록했습니다4. 동국대학교 (Dongguk University)학교장 추천 인재 전형과 DoDream 전형이 인기가 많습니다5. 경희대학교 (Kyung Hee University)네오.. 2024. 10. 22.
2024년 수시에서 인기 있는 학교와 학과 소개 올해 수시에서 가장 지원을 많이한 대학과 학과는 어디일까?안녕하세요, 입시 정보를 전해드리는 블로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오늘은 2024년 수시에서 가장 인기 있는 학교와 학과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입시를 준비하는 여러분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1. 동국대학교 약학과동국대학교 약학과는 올해 수시에서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무려 33.75:1의 경쟁률로, 많은 학생들이 이 학과에 지원했습니다. 약학과는 안정적인 직업 전망과 높은 연봉으로 인해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2. 고려대학교 간호대학고려대학교 간호대학은 26.5:1의 경쟁률을 보이며 두 번째로 인기 있는 학과로 자리 잡았습니다. 간호학과는 의료 분야에서의 높은 수요와 다양한 진로 선택의 폭으로 인해 많은 학생들이 선호.. 2024. 10. 22.
대학생 장학금 정보/ 미국에 있는 대학에서도 장학금을 받고 다닐 수 있다고? 오늘은 미국에서도 한국 유학생이 장학금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포스팅할게요. 여러 대학과 기관에서 유학생을 위한 장학금을 제공하고 있으니 잘 살펴보고 꿈에 날개를 달아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미국대학 뿐만아니라 한국 정부 및 국내 기관에서도 해외 유학을 지원하는 장학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장학재단의 우수고등학생 해외유학 장학금, 대통령과학장학금 등이 있습니다 우선 미국 대학의 장학금 신청 방법은 성적 우수 장학금 (Merit-based Scholarships): 학업 성취도, 예술, 스포츠 등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인 학생들에게 주어집니다 필요 기반 장학금 (Need-based Scholarships): 재정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들.. 2024. 9.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