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말2 상서롭다 vs 상스럽다: 헷갈리는 두 단어, 완벽 정리! 발음은 비슷하지만 의미는 정반대인 두 단어, '상서롭다'와 '상스럽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혹시 이 두 단어를 사용할 때마다 헷갈리셨던 적 있으신가요? 오늘 포스팅을 통해 두 단어의 의미와 차이를 명확하게 구분하고, 상황에 맞는 올바른 단어를 알아보겠습니다.1. 상서롭다 (祥瑞롭다) * 한자 풀이: 상서로울 상(祥), 상서로울 서(瑞) * 의미: 복되고 길한 일이 일어날 조짐이 있다. * 예시: * "아침에 까치가 울면 상서로운 일이 생길 징조라고 한다." * "새해 첫날 해돋이를 보며 상서로운 기운을 받았다." * "결혼식 날, 하늘에 오색 구름이 피어 상서로웠다."2. 상스럽다 (常스럽다) * 한자 풀이: 항상 상(常) * 의미: 말이나 행동이 천하고 교양이 없다. * 예시: *.. 2025. 3. 22. '그러나' vs '그런데': 미묘한 차이, 명확한 사용법 완벽 정리! 글쓰기를 하다 보면 문장과 문장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접속사의 중요성을 실감하게 됩니다. 특히 반대되는 내용을 연결할 때 자주 사용하는 '그러나'와 '그런데'는 비슷해 보이지만 미묘한 차이가 있어 상황에 맞는 적절한 사용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두 접속사의 차이점을 명확히 비교하고, 실제 사용 예시를 통해 이해를 돕도록 하겠습니다.1. '그러나': 예상치 못한 반전, 강한 대조'그러나'는 앞 문장의 내용과 정반대되거나 예상치 못한 내용을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 앞 문장의 내용을 강하게 부정하거나 반전시키는 효과를 줍니다. * 사용 예시: * "나는 열심히 공부했다. 그러나 시험을 망쳤다." (노력과 결과의 강한 대조) * "그는 키가 크고 잘생겼다. 그러나 성격이 좋지 않다." (외모와 성격의 반전.. 2025. 3.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