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입 대입 진학진로205 [매일 말해 보는 Say in English] 길을 묻는 영어 표현들 외국인에게 길을 안내할때 Go straight/ Turn left/ 1. How can I get the post office? 우체국이 어디인가요? Go straight down this street and turn right 이 길을 쭉 따라가다가 오른쪽으로 꺾으면 돼요 * Go straight down the street 길을 따라 쭉~ 가시요 (길 아래로 내려가란 뜻 아님) * Go up this street 이 (경사진) 길로 올라가세요 * Go to two blocks and turn left 두블럭 가서 왼쪽으로 꺾으면 돼요 2. Please use the app to find the shortest route 어떤 경로가 빠를지 앱으로 검색해 보세요 * route 길, 경로, 방법 발음[라우트] 또는 [루우트] 둘다 사용 가능 3. How long does.. 2020. 11. 16. [공부법] 시험을 잘보려며...시험기간 스트레스 대처법 ' 시험에 강해지자' 시험 기간이 다가오면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일명 시험 불안증을 극복하기위해 평소 실천할 수 있는 유의사항을 기억해둡니다. 몇번의 훈련만 하더라도 실전에서 불안감이 다소 사라지는 효과를 볼 수 있을것입니다. 🍑🍑🍑🍑🍑🍑🍑🍑🍑🍑🍑🍑🍑 1. 연습은 실전처럼, 실전은 연습처럼 시험공부를 할 때 시간제한을 두어 공부하는 연습을 하면 불안함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습니다. 제한된 시간에 대한 긴장 때문에 공부한 만큼 실력 발휘를 못하는 학생들은 여유 있는 공부법보다는 실전처럼 45분 동안 문제를 풀거나 공부하는 연습을 권합니다. 2. 시험 전날 밤새기는 금물, 아침 식사는 필수! 심리학자들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19시간 연속적으로 수면을 취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험을 치르는 것은 혈중 알코올 .. 2020. 11. 16. [공부법]계획표 만들때 고려할점 ㅡ알찬계획표짜기 [공부법] 많은 학생들이 평소 학습 계획을 세우지만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선 잘못된 계획을 세우는 방식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죠. 이번 시간에는 나만의 계획 짜기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모든 시간에는 시간표가 있어야 합니다. 시간표를 잘 짜는 기술은 시간을 가장 알뜰하게 쓰는 방법이 될 뿐 아니라, 균형과 조화를 이룬 기분 좋은 삶을 영위하는 비결이기도 합니다. 매사에 예측을 잘 하면 성공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 일을 하는 데 시간이 얼마나 걸릴 것인가?”라는 질문은 시간표를 짜는 데 반드시 고려해야 할 필수 항목이 됩니다. 새로운 일이나 어렵다고 생각되는 일을 하기 위해서는 시간의 양을 어느 정도로 예측해야 할까요? 그때는 자신이 생각한 시간보다 약 20%를 더 여유 있게 잡.. 2020. 11. 14. [진학진로]교육부 선정 한국판 뉴딜정책에 맞는 직업은 무엇? 뉴딜시대에 맞는 진로 직업 알아보기 코로나 19발생으로 사회에 큰변화가 빠르게 이어지고 있다. 경제,사회 문제와 변화에 대응하고 위기를 극복하기위해 추진하는 정부정책에 귀기울여 진로를 탐색해보자 2020. 11. 13. [공부법]효과적인 암기법ㆍㆍ항상 외우기가 문제야 #기억력 높이기 공부를 하면서 효과적인 암기법에 대해 고민하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기억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봅니다. 정보를 이해함과 동시에 정리해보자 하나, 기억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보관해야 합니다. 머릿속 기억창고에 중요한 정보와 의미 없는 정보를 구별하지 않은 채 체계 없이 마구 쑤셔 넣으면, 기억한 내용들이 서로 뒤섞여 머릿속이 복잡해집니다. 애써 기억한 내용을 머릿속에서 바로 꺼내 활용할 수 없을뿐더러 기억하려 해도 잘 떠오르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정보를 이해함과 동시에 정리하는 과정이 따라야 합니다. 공부에도 추억을 만들어보자 유머를 섞어 가르치는 선생님은 오래남는다 둘, 긍정적인 ‘정서’를 동반해야 합니다. 뇌는 정보에 대한 개인적인 판단이나 느낌까지 고려해서 정보의 .. 2020. 11. 13. [매일 말해 보는 Say in English] 가격이 급상승하다/중독되다 영어표현 soar/be addicted to 1. The price of snack has soared 과자 가격이 너무 많이 올랐더라 * The price of 명사 ~ 의 가격 ex) The price of real estate 부동산 가격 * soar 급상승하다, 치솟다 go up 올라가다 / increase 상승하다 2. I can't have anything that has caffeine 나 카페인 든 거 못 마셔 * have =eat 먹다 =drink 마시다 * anything that has caffeine 카페인 들어 있는 것 3. I think I might have become addicted to energy drinks 에너지 드링크에 중독된 거 같아 * I think ~인 것 같아 * might have 과거분사(pp) ~.. 2020. 11. 13. [매일 말해 보는 Say in English] Chicken out! 미국에서 chicken은 어떤 뜻으로 쓰이나요? 겁먹다. 쫄다. Chicken이 외국에선 겁쟁이라는 뜻으로 쓰여서 Chicken out 하면 겁먹다. 막 무서워서 호들갑 떨게 될 때! 그런 상황에서 주로 완전 Chicken out 1) 너 겁 먹었어? Did you chicken out? 2) 그만 겁내! Don’t chicken out 3) 겁낼 필요 하나도 없어. You don’t need to chicken out. 4) 나 진짜 겁났었어. I chickened out. - A: 뭐하고 있어! 빨리 가자! What are you waiting for! Let’s go! B: 나 도저히 저 롤러코스터는 못 타겠어. I don’t think I can go on that roller coaster. A: 겁 낼 필요 없다니까?!! I told you.. 2020. 11. 11. [청소년 문화] 사춘기 아이 알아가기 : 완벽주의 www.youtube.com/watch?v=DLYyXTi7H3Y&t=1659s 오늘 소개드릴 청소년에게 영감을 주는 강연은 허지웅 작가의 '살고 싶다는 농담' 강연입니다. 1. 허지웅 작가가 달라졌다. 허지웅 작가는 항상 크고 거창한 것들을 바꾸려 노력했습니다. 뻔히 있는 것을 사람들은 알면서도 침묵하고 좋은 어른은 없고 나쁜 어른들이 너무 많은 세상이라고 느꼈습니다. 지금까지의 허지웅 작가는 그런 거대한 것들과 싸우며 살아왔습니다. 하지만 항암치료 이후 그는 달라졌습니다. 청소년들이 배신감을 느낄지도 모르겠지만 그래도 그는 솔직히 느낀 것을 말합니다. '거대한 것들을 더는 바꾸지 않으려 합니다.' 2. 바꿀 수 없는 것을 바꾸려 한 사람 : 닉슨과 케네디 흙수저이지만 자수성가로 대통령의 위치까지 오른 .. 2020. 11. 10. [매일 말해 보는 Say in English] 거의 됐는데 아깝다~~!영어로 어떻게 말할까? 🍒 '아깝다'의 여러 표현들🍒 1. I almost made it! 나 거의 됐었어! = I almost had it! 나 거의 됐었어! (즉, 아깝다) 2. You nearly had it!너 거의 됐는데! * near 가까운, 가까이 / nearly 거의 3. You were so close! 너 정말 가까웠어! 4. That was so close 아깝다 * 달리, 이렇게도 쓰임 - That was so close 거의 사고 날 뻔했어 We are so lucky! 다행이다! 음식. 시간 등 '아깝다'란 표현들 5. What a waste! 아까워라! * waste 낭비 6. What a waste of good food! 좋은 음식을 낭비하다니! 7. What a waste of time (ene.. 2020. 11. 10. 복잡한 대입제도 단순화 현재 초등 5학년 2028년 수능40%확대 수능위주 전형 확대 지금 초등학생인 자녀들에게는 어떠한 입시의 변화가 있을까? 2028년 대입제도 개편안 내년에 본격적으로 논의한다. 현재 초등학교 5학년이 적용받는 2028학년도 대학입시제도 개편 논의가 내년부터 시작된다.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위주의 대입 전형을 확대하고 복잡한 입시를 단순화하는 흐름이 이어질것이라고 한다. 대학입학 공정성 마련방안으로 22학년도 교사추천서, 24년 자소서는 폐지한다. 논술전형, 특기자 전형도 폐지하도록 유도한다. 현재 초등학교 5학년이 적용받는 2028학년도 대학입시제도 개편 논의가 내년부터 시작된다.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위주의 대입 전형을 확대하고 복잡한 입시를 단순화하는 흐름은 이어간다. 우선 공정성과 변별력 확보를 위한 2028년 대입제도 개편 논의를 내년 2분기부터 추진한다.. 2020. 11. 10.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21 다음